https://www.google.com/intl/ko_kr/drive/download/
다운로드 - Google Drive
어느 기기에서나 콘텐츠에 액세스하고 콘텐츠를 동기화하세요.
www.google.com
과거 구글 드라이브를 쓰면 데스크탑에서 구글 백업&싱크(backupandsync)를 써서 동기화 및 백업 기능을 사용했을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조금 이해하기가 난해했다. 그래서 본인도 머리가 아파 간단한 기능만 썼는데 이번에 새로 나온 '구글데스크탑'을 깔고 써보니 과거에 이해하지 못했던 개념을 쉽게 이해 할 수 있어서 본 글을 쓰게 되었다.
먼저 인스톨을 마치면 아래의 로칼 구글드라이브가 만들어지며 "내 드라이브"와 "다른 컴퓨터' 폴더가 생성된다.

먼저 "내 드라이브"는 전체 싱크용이고 "다른 컴퓨터"는 말 그대로 내 계정으로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특정 폴더를 말한다.
여기서 전체 싱크라는 말을 했는데 이는 사용자가 "내 드라이브"에서 파일 작업을 하면 클라우드 구글드라이브의 "내 드라이브"의 내용이 변경되며 또한 내 계정으로 로그인된 전체 컴퓨터의 로칼 드라이브의 "내 드라이브" 폴더 내용도 함께 변경되기 때문이다.
"다른 컴퓨터"는 나의 컴퓨터가 아닌 다른 컴퓨터의 특정 폴더에 접근하는 폴더이다. 내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의 특정 폴더에 접근함에 주목한다. (내 컴퓨터의 특정 폴더는 내 드라이브의 특정 폴더에 있다.)
예를 들면, 내가 구글드라이브 데스크톱 설정(아래 그림 참조)에서 내 컴퓨터의 특정 폴더를 싱크한다는 옵션을 켜 놓으면 클라우드 구글드라이브의 "컴퓨터" > "내 컴퓨터1" 폴더와 싱크(미러링)된다. 그리고 다른 컴퓨터(동일 계정으로 로그인)에서 특정 폴더를 싱크하면 클라우드 구글드라이브의 "컴퓨터">"내 컴퓨터2"폴더에 싱크(미러링)된다.

이러한 설정을 마치면 나는 로칼 내 컴퓨터("컴퓨터1")의 H:드라이브의 "다른 컴퓨터"에서 "내컴퓨터2"의 폴더에 접근해서 내용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것은 "내컴퓨터2" 컴퓨터의 특정 폴더의 내용을 직접 변경하는 것과 같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컴퓨터 당 싱크라고 보아도 된다.

정리하면, 과거 backupandsync와 현재의 구글 드라이브의 가장 큰 차이점은 새로운 가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만들고 2개의폴더를 만들어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점이다. 그리고 이렇케 구성해 놓으면 구글드라이브 데스크톱을 해제할 경우에 가상으로 생성된 H:드라이브가 사라져 구글 싱크가 해제된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되었다.

이상의 설명이 조금 복잡하다고 생각된다면, 아래 순서대로 설정해 보자.
먼저, 용도를 생각해보자. 본인은 회사의 특정 폴더를 나스서버와 싱크하고 있는데 이 폴더를 사무실, 집 또는 출장중에도 접근 해야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인은 D:\googleDrive 폴더를 모든 컴퓨터에서 '전체 싱크' 하겠다.
먼저 구글 드라이브를 깔고 작업표시줄의 숨겨진 아이콘에서 구글 드라이브 클릭 후, 톱니 바퀴 선택한다.

Google Drive/Drive 폴더 클릭 한 후, 파일 미러링 클릭한다.
그림 6.
그러면 아랫 화면이 나타나는에 여기서 "폴더 위치 변경"을 클릭한다.

브라우저 창이 뜨면 D:\googleDrive를 클릭한 후 "위치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저장" 버튼을 눌러서 파일 미러링 설정을 마친다.

"저장" 버튼을 누르면 "지금 다시 시작"버튼을 눌러서 다시 구글드라이브 데스크톱을 실행한다.

그러면, 아래의 그림처럼 클라우드의 '내 드라이브'에 D:\googleDrive의 데이타가 싱크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는 로칼 파일이 클라우드상으로 복사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클라우드 구글드라이브의 "내 드라이브" 폴더를 클릭하면 로칼 '내 드라이브' 폴더로 데이타가 써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제 내가 어떠한 작업을 D:\googleDrive 또는 '내 드라이브'에서 하면 그 내용은 바로 바로 업데이트 된다. 그러니 실수로 데이타를 지우지는 마시라. 물론 휴지통을 뒤지면 되지만...
그런데 잠시, 내 로칼 드라이브인 H:드라이브가 약간 달라졌다.

처음 만들었을때 "내 드라이브"는 <폴더>였는데 지금은 <lnk>임을 확인 하였는가?
원래의 폴더("내 드라이브")는 가상화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H:드라이브내에 "내 드라이브" 폴더가 위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는데 지금은 "내 드라이브"는 D:\googleDrive"에 연결(Link)되어 있음을 명확히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lnk> 확장자를 가짐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난 내가 작업하는 특정 폴더만을 백업하며 동시에 다른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에서 이 폴더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고 싶다.
이럴 때는 집 컴퓨터에서는 동영상작업 폴더, 회사 컴퓨터에서는 문서 작업를 "폴더추가"해 놓으면 된다. 그러면, 각 컴퓨터에서는 '전체 싱크'해서 불필요한 트래픽 발생시키고 않고 M:드라이브의 "다른 컴퓨터"를 클릭해서 "다른 컴퓨터"의 특정 폴더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 (물론 M:드라이브의 "다른 컴퓨터"에는 "내 컴퓨터"의 내용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위에서 접근이라는 말을 했는데 이렇케 접근하면 이것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파일을 수정한다는 것이다. H:드라이브의 "다른 컴퓨터"의 파일로의 접근은 스트리밍 방식이다. 왜냐면 구글드라이브 데스크톱앱을 중지하면 가상 H:드라이브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설정 방법은, 태스크 바의 '구글드라이브아이콘'을 클릭 한 후 상단의 톱니바퀴를 눌러 구글드라이브 알람화면으로 이동한다.

"폴더추가"버튼을 누른 후 원하는 디렉토리를 찾아서 클릭한다.

본인은 Scanned Documents 폴더를 '컴퓨터 당 싱크'로 설정했다.

그러면, 클라우드상에는 '내 드라이브'와 '컴퓨터'라는 폴더가 생기고 Home, RND라는 2개의 컴퓨터 화면을 볼 수 있다.

원래는 '내 컴퓨터'로 이름 붙여져서 보이는데 자유롭게 이름을 변경하면 된다. 본인은 KIMSH로 변경해 놓았다. 그리고 위 그림 16.에서 Home 폴더는 집에 있는 컴퓨터에서 등록한 폴더이다.
끝으로 H:드라이브의 "다른 컴퓨터" 폴더에는 내 폴더를 찾을 수 없다. 말 그대로다. "다른 컴퓨터" 폴더에 내 폴더가 있을 수 없다.

그럼 내 폴더는 어디있지? 당연히 로칼드라이브의 원래 있던 위치에 있다. 다만 폴더 좌측아래에 싱크완료라는 아이콘이 붙여진 체. 이 폴더는 당연히 구글드라이브 데스크톱앱을 중지해도 남아있다. 미러링했기 때문이다.

(구글 드라이브를 사용하면서 느낀점)
과거 본인은 클라우드에 저장된 구글 드라이브에서 내가 저장한 파일이 날라거면 어쩌나하고 걱정해서 파일 미러링을 선호했는데 지금은 "내 드라이브"를 미러링이 아닌 스트리밍 싱크 방식으로 변경할 생각을 하고 있다. 네트워크 속도도 향상되었으며 특히 로칼 하드디스크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화재, 도난, 파손 및 해킹 등등)가 더 많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
(2025-2-12) 내용 추가 및 변경 됨.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드라이브에서 "내 컴퓨터"의 동기화 제거하기 (0) | 2021.10.01 |
---|---|
Visual Studio에서 블록 코멘트 토글하기 (0) | 2021.09.09 |
editplus2 에서 탭을 스페이스 4칸으로 설정하기 (0) | 2021.08.13 |
동영상 회전해서 저장하기 (0) | 2021.06.16 |
Hyper-V 가상머신을 이용한 Ubuntu 18.04 설치 (0) | 2020.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