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96 MOLEX 전원 커넥터 선정하기 2개의 PCB 간에 220볼트 전원이 연결되어야 할 필요가 생겼다. (Molex사의 커넥터가 전원관련해서 많이 사용되므로 아무런 생각 없이 결정하였다.) 아래처럼 생겼다. 4핀을 선택한 이유는 한 선에 외부전원을 직접연결한 것과 필터를 통과한 전원을 연결하기 위해서이다. 제품에서 사용하는 전원의 용량이 2A 이하이고, 아래 포스팅을 참조해서 보니 AWG20을 사용하면 충분할 것 같다. 2022.12.12 - [전기, 전자] - AWG 전선규격이란? AWG 전선규격이란? AWG(Americal Wire Guage) 미국에서 제정한 전선의 굵기를 나타내는 표준이다. 전선의 지름을 기준으로 하며 지름에 따른 단면적과 같이 표로 나타낸다. https://en.wikipedia.org/wiki/American_w.. 2022. 12. 13. AWG 전선규격이란? AWG(Americal Wire Guage) 와이어 스트리퍼를 보면, AWG와 MM이라고 표기되어 있는데 이 AWG가 궁금하다. 그래서 찾아보았더니, 미국에서 제정한 전선의 굵기를 나타내는 표준이라고 한다. 전선의 지름을 기준으로 하며 지름에 따른 단면적과 같이 표로 나타낸다. https://en.wikipedia.org/wiki/American_wire_gauge#Tables_of_AWG_wire_sizes American wire gaug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North American standard for electrical wire diameters American .. 2022. 12. 12. 곱셈과 미적분 이해하기 함수에서 곱셈은 몇 배를 해주는 것이 아니라 변화의 세기를 의미한다. x가 1만큼 갈 때 y는 a 만큼 가라고 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것은 기울기를 말한다. $y=a x$ ----- (1)윗 식은 기울기가 a인 직선이다. 그런데 2차 함수로 가면, 식 (1)과 같이 직관적으로 기울기를 구할 수는 없다. 그래서 미분이라는 것이 나왔는데, 기울기의 정의로 부터 만들어진 식은 아래와 같다. $$\frac {\text{y 변화량}}{\text{x의 변화량}}=\frac{f(x+\triangle x) - f(x)}{\triangle x}$$ 그리고 위 식에서 $\triangle x$를 0에 수렴시키면 그 함수를 점 x에서의 미분값이라고 하고 아래와 같이 표시한다.$$y\prime = f\prime (x) .. 2022. 12. 2. PLC 표준언어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국제전기기술위원회)에서 PLC의 표준기술을 10개의 파트로 나누어 기술(IEC61131)하였으며 파트3(IEC61131-3)에서 표준 PLC 프로그램 언어에 대하여 다루었다. 1. 문자식 언어 IL(Instruction List) : 어셈블리 형태의 언어 ST(Structured Text) : 파스칼 형식의 고수준 방식 언어 2. 도형식 언어 LD(Ladder Diagram) : 릴레이 로직 표현 방식. LS PLC의 XGB>XBC 시리즈에서 사용한다. FBD(Functional Block Diagram) : 블록화된 기능을 서로 연결하는 방식 SFC(Sequential Function Chart) : 플로우챠트와 유사한 .. 2022. 11. 28. PLC란? PLC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는 기존에 사용하던 제어반(Control panel) 내의 릴레이, 타이머, 카운터 등의 기능을 IC,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 소자로 대체, 기본적인 시퀀스 제어 기능에 연산 기능을 추가하여 프로그램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범용 제어 장치입니다. LS ELECTRIC에서는 중.대형 응용분야에 적합한 GLOFA-GM 시리즈, 소형 단위기계 응용에 적합한 Master-K 시리즈, 초고속 Open Network Solution을 지향하는 신개념의 차세대 PLC XGT 시리즈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LS산전 홈피 내용 복사함. 단, 현재 Glofa, Master-K 시리즈는 단종상태이다. LS PLC의 시리즈 구분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한다. .. 2022. 11. 28. 모드버스(ModBus) 프로토콜(Protocol) ModBus 프로토콜은 PLC 장치와 주변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해서 만들어졌다. 이 프로토콜의 특징은 통신에 참여하는 장치를 마스터 역할을 담당하는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역할을 담당하는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로 구분해서 구성되며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를 1:N으로 연결해 준다. 즉, PLC를 마스터 장치로 하고 주변 센서 및 출력 장치를 슬레이브 장치로 구성한 후 PLC를 로더를 통해서 프로그래밍한 후 시스템을 컨트롤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일반 사용자가 시스템을 컨트롤하기에는 매우 어려웠으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시스템을 컨트롤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되었다. 즉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여 시스템 장치를 제어하고 현재 상태 및 출력을 보여주는 도구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그리.. 2022. 11. 17. Symbol과 Footprint 검색 https://fotc.tistory.com/pages/symbolfootprint-symbol+footprint 검색 symbol+footprint 검색 google snapeda samacsys ultralibrian fotc.tistory.com datasheet는 google에서 찾고 심볼(Symbol)과 풋프린트(Footprint)는 snapeda, samacsys, ultralibrian에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만든 페이지이다. 먼저 데이타시트를 찾는 방법은 google 입력창에 찾는 부품명과 .pdf를 넣은 후 검색버튼(혹은 엔터키)을 누르면 된다. 그리고 심볼과 풋프린트를 찾기 위해서 3곳의 검색사이트를 모아 두었다. https://www.snapeda.com/ SnapEDA Build .. 2022. 11. 15. PLC의 COM(공통단자)의 의미 입력단에서 PLC의 공통단자는 무슨말일까? PLC 내부의 결선을 한데 묶어 놓는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그 끝단에는 LED가 각각 1개씩 정방향, 역방향 병렬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면된다. 입력단에서 보면, COM 입력단에 +24V를 입력한다는 것은 입력포트에 24G(GND, 0V)를 입력받겠다는 의미이다. 이래야 입력단의 포트LED를 점등할 수 있다. 역으로 COM 입력단에 24G(GND, 0V)를 입력한다는 것은 입력포트에 +24V를 입력받겠다는 의미이다. 실제의 PLC 내부의 입력단의 회로도는 아래와 같다. 보기가 좀 어렵다. TB는 Terminal Block의 약자이다. 그럼 출력단에서 COM은 무엇일까? 입력단의 COM과 같은 의미이나 출력단에서는 COM으로 들어온 선을 그대로 내부회로(래더도)의 .. 2022. 11. 14. 이전 1 2 3 4 5 6 7 8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