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 설비 기사/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감지기 설치 기준

by 배굿맨 2020. 3. 24.

○ 부착높이에 따른 감지기 종류

높이 감지기의 종류
20m 이상 불꽃감지기
전식(리형, 기흡입형) 중 아날로그방식
15m 이상 20m 미만 불꽃감지기
이온화식 1종
전식(스포트형, 분리형, 공기흡입형) 1종
연기복합형(정의: 광전식스포트형+이온화식)
8m 이상 15m 미만 불꽃감지기
이온화식 1종, 2종
광전식(스포트형, 분리형, 공기흡입형) 1종, 2종
연기복합형(정의: 광전식스포트형+이온화식)


차동식 분포형
4m 이상 8m 미만 불꽃감지기
이온화식 1종, 2종
광전식(스포트형, 분리형, 공기흡입형) 1종, 2종
연기복합형(정의: 광전식스포트형+이온화식)


차동식 분포형


차동식 스포트형
정온식(스포트형, 감지선형) 특종 또는 1종
보상식 스포트형
열복합형(차동식스포트형+정온식스포트형)
4m 미만 불꽃감지기
이온화식
광전식(스포트형, 분리형, 공기흡입형)
연기복합형(정의: 광전식스포트형+이온화식)


차동식 분포형


차동식 스포트형
정온식(스포트형, 감지선형)
보상식 스포트형
열복합형(차동식스포트형+정온식스포트형)

 

(외우기팁)

광전식, 이온화식은 연기감지기

차동식, 정온식은 온도감지기

차동식 분포형, 차동식 스포트형은 각각 정온식 감지선형과 정온식 스포트형에 대응됨

보상식은 차동식의 단점인 완만하게 온도가 증가하면 작동하지 않는 단점을 정온식방식을 추가한 방식을 말한다.

열복합형은 동시에 작동되거나  또는 하나만 작동되더라도 화재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단 보상식은 어느 하나라도 작동하면 화재 신호가 발생된다.

 

불꽃감지기는 모두

20m 이상이 되야 불꽃놀이하지? 광분하다가 천장이 뚫려 하늘(공기)이 보인다. 아~나 얼마나 깨진거야ㅠㅠ

15m 이상, 20m 미만에서는 '이온화식'과 '광전식스포트형'만 추가된 것임. 하늘에서 꽝스꽝스하면서 이온이 쏟아진다.

8m 이상, 15m 미만, 8 15 광복절을 맞이하여 연복형님이랑 불꽃 놀이 하면서 차분하게 보냈다. 드디어 분포형이 하나 나왔다. 높은 위치에 분포형을 설치하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4m 이상, 8m 미만은 4m 미만과 마찬가지로 모든 감지기 설치 가능하다. 단 등급은 당연히 높다.

4m 미만은 모두 사용가능

 

○ 바닥면적을 고려한 열감지기의 부착 개수

 

1. 스포트형 열감지기

 

부착높이 및 특정소방대상물의 구분 감지기의 종류 [$m^2$]
차동식/보상식스포트형 정온식스포트형
1종 2종 특종 1종 2종
4m 미만 내화구조 90 70 70 60 20
기타구조 50 40 40 30 15
4m 이상 8m 미만 내화구조 45 35 35 30  
기타구조 30 25 25 15  

 

문)  내화구조의 경계구역에 차동식스포트형 열감지기를 부착하려고 한다. 천장 높이가 7m 이고 바닥면적이 30평방미터라면 몇개의 1종 차동식스포트형 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하나?

1개. 해설) 최소 1개는 달아야 한다.

 

문) 내화구조의 경계구역에 차동식스포트형 열감지기를 부착하려고 한다. 천장 높이가 3m 이고 바닥면적이 100평방미터라면 몇개의 1종 차동식스포트형 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하나?

1개. 해설) 단위면적당 1개이므로

 

 

차동식, 정온식, 보상식(차동식+정온식)과 같은 열감지기는 차동식분포형만을 제외하고 모두 8m 미만에만 사용한다. 차동식분포형은 설치는 어렵지만, 성능은 높기 때문에 8.15 구간에서 쓰일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위 표는 8m 미만의 차동식/보상식/정온식스포트형에 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4m 미만 에서의 내화구조 값 만을 외운다. 90 70 70 60. 이걸 어떻케 외워요? 본인은 80이 없는걸로 외워요. 

높이가 다음 단계로 높아지면 내화구조 값은 위에서 반배. 높이가 올라가면 바닥 면적은 반으로 줍니다.

일단 8개를 써 놓고 좀전에 쓴 값에서 표에서 위로 올라갈 때는 자신이거나 가장 가까운 10의 배수 값

표에서 내려갈 때는 정온식스포트형1종의 기타구조에서의 값만 빼고는 10을 뺀 값이다. 

아마도 20이 맞을것 같은데, 15를 쓰다니. 정온식스포트형 2종에다가 이 값들을 쓰자.

정온식 삼오눈이 사팔인데  스포츠 특종에 실렸다. (정온식스포트형 4m이상 8m 미만 특종)

차보스는 공을 45도로 차버렸다. (차동식/보상식 스포트형 4m이상 8m 미만 1종)

 

차동식/보상식은 1/2종 2종류, 정온식은 특/1/2종 3종류. 정온식 기자가 특종을 따왔다라고 외우자.

 

2. 차동식분포형중 열전대식

 

열전대식은 '열전대부'라는 센서를 몇 개 연결하는가에 대한 문제를 푼다. 왜냐면 감지기는 스포트형이 아니라 분포형이기 때문이다. 거미줄처럼 쳐야할까? 너무 주먹구구식이다. 다음과 같이 규격이 나온다.

 

① 하나의 검출부(차동식분포형감지기 내부에 있다)에 접속하는 열전대부는 최소 4 개 이상, 최대 20 개 이하로 한다.

② 열전대식 감지기의 면적 설치기준에 따른다.

높이 건물의 성상 [$m^2$]
내화구조건물 비내화구조건물
8m 미만 22 18
8m 이상 15m 미만 11 9

만일, 내화구조건물의 바닥면적이 70 [$m^2$] 이라면, '열전대부'는 몇 개? 무조건 최소 4개이다.

 

열전나 나는데 내화구조가 아니면(내 화를 참지 못하면) 18놈이라고 욕하겠지요?

 

3. 차동식분포형중 열반도체식

 

'열전대부'를 '열반도체'로 대체한 것이다. 하나의 검출부에 접속하는 '감지부(열반도체소자)'는 2개 이상 15개 이하이다.

 

① 하나의 검출부(차동식분포형감지기 내부에 있다)에 접속하는 '열반도체소자' 최소 2개 이상, 최대 15 개 이하로 한다.

② 열반도체식 감지기의 면적 설치기준에 따른다. (아래의 면적기준은 하나의 '감지부'가 담당하는 구역으로 보면 된다.)

부착 높이 및 소방대상물의 구분 건물의 성상 [$m^2$]
1종 2종
8m 미만 내화구조 65 36
기타구조 40 23
8m 이상 15m 미만 내화구조 50 -
기타구조 30 -

문) 부착높이 3[m], 바닥면적 50[$m^2$]인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한 소방대상물에 1종 열반도체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를 설치하고자 할 때 감지부의 최소설치개수는?

1개. 해설) 단위보다 작으면 최소단위인 1개 사용

 

문) 만일 위 문제에서 바닥면적이 70[$m^2$] 이면?

2개

 

차동식 열반도체식 화(내화구조)로에 육우(65) 1급을 먹으니 8짜가 좋다.

 

○ 바닥면적을 고려한 연기감지기의 부착 개수

부착높이 감지기의 종류 [$m^2$]
1종 / 2종 3종
4m 미만 150 50
4m 이상, 20m 미만 75  

문) 입원실의 바닥면적이 160 평방미터이다. 몇 개의 1종연기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하나? 만일 2종이라면? 

1종일 때는 1개, 2종일때는 2개

 

문) 교정시설 거실의 바닥면적이 50 평방미터이다. 몇 개의 1종연기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하나? 만일 2종이라면? 단, 교정시설의 천장높이는 5m이다.

1종일 때는 1개, 2종일 때도 1개.

 

일반감지기의 내화구조에서의 1종의 합은 150입니다. 150쓰고 단계가 증가하면 반땡, 종이 바뀌면 100빼세요.

사실 이래도 잘 안워집니다. ㅠㅠ. 힘내세요.

 

○ 복도, 계단/경사로에서의 연기감지기의 부착 개수

설치장소 감지기의 종류
1종, 2종 3종 1종, 2종 3종
설치거리 보행거리 30m 보행거리 20m 수직거리 15m 수직거리 10m

 

계단/경사로에서는 복도에서의 보행거리 값의 1/2입니다.

복도의 길이가 30m 미만에는 연기감지기 설치 하지 않습니다. 그러니 30m 부터 달아줍니다.

 

(만일 내용중 틀린점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소방 설비 기사 >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시설의 구분  (0) 2020.04.04
누설동축케이블의 설치기준  (0) 2020.04.04
비상콘센트설비 설치 기준  (0) 2020.04.03
수신기  (0) 2020.04.03
절연저항  (0) 2020.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