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18 .hwp 파일을 .doc(.docx) 파일로 변환하기 부제: totalcommander에서 자주 사용하는 유틸러티 프로그램을 도구모움창에 등록하기 관공서에서 제공하는 .HWP 문서를 편집해야 될 일이 생겼다. Naver의 Whale에 파일을 떠서 올리면 파일을 쉽게 읽어서 내용을 읽기는 좋은데, 편집하려니 워드(.DOCX)로 변환할 필요성이 생겼다. 그래서 알아보니 아래의 3가지 방법이 있음을 알게되었다. 1. 온라인 무료 변환 사이트 2. 네이버 MYBOX 3. MS사에서 제공해주는 프로그램(BATCHHWPCONV.EXE)을 이용 이 중에서 토탈커맨더(totalcommander)로 도구함에 BATCHHWPCONV.EXE를 등록해서 사용하는 것이 본인이 작업하기에 빨라서 3번을 선택했다. 도구창목록의 빈영역에서 마우스 우측버튼을 클릭한 후, "변경(C).... 2022. 11. 8. 토탈커맨더(Totalcommander)에서 폴더와 파일 모두 시간(날짜) 정렬하기 메뉴>환경설정>옵션을 누른 후, 아래화면의 폴더정렬 옵션을 "파일처럼(또한 시간순으로)(F)"로 변경해준다. 2022. 3. 10. 구글 드라이브에서 "내 컴퓨터"의 동기화 제거하기 구글 드라이브는 2가지 모드를 지원한다. 자세한 사항은 아랫 글을 참고한다. https://fotc.tistory.com/entry/%EC%83%88%EB%A1%9C%EB%82%98%EC%98%A8-%EA%B5%AC%EA%B8%80-%EB%93%9C%EB%9D%BC%EC%9D%B4%EB%B8%8C-%EA%B0%9C%EB%85%90%EC%9E%A1%EA%B8%B0 새로나온 구글 드라이브 개념잡기 https://www.google.com/intl/ko_kr/drive/download/ 다운로드 - Google Drive 어느 기기에서나 콘텐츠에 액세스하고 콘텐츠를 동기화하세요. www.google.com 과거 구글 드라이브를 쓰면 데스크탑에서 구글 백업&.. fotc.tistory.com 본인은 "Googl.. 2021. 10. 1. Visual Studio에서 블록 코멘트 토글하기 라인 코멘트의 시작은 // 블록은 /* */으로 감싼다. #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인라인 코멘트입니다. #include #include int main() { int a; int b; /* 블록 코멘트입니다. 아래 정의는 오류가 납니다. */ const int* pa = &a; // 인라인 코멘트입니다. 2021. 9. 9. 새로나온 구글 드라이브 개념잡기 https://www.google.com/intl/ko_kr/drive/download/ 다운로드 - Google Drive어느 기기에서나 콘텐츠에 액세스하고 콘텐츠를 동기화하세요.www.google.com 과거 구글 드라이브를 쓰면 데스크탑에서 구글 백업&싱크(backupandsync)를 써서 동기화 및 백업 기능을 사용했을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조금 이해하기가 난해했다. 그래서 본인도 머리가 아파 간단한 기능만 썼는데 이번에 새로 나온 '구글데스크탑'을 깔고 써보니 과거에 이해하지 못했던 개념을 쉽게 이해 할 수 있어서 본 글을 쓰게 되었다. 먼저 인스톨을 마치면 아래의 로칼 구글드라이브가 만들어지며 "내 드라이브"와 "다른 컴퓨터' 폴더가 생성된다. 먼저 "내 드라이브"는 전체 싱크용이고 "다른 .. 2021. 8. 26. editplus2 에서 탭을 스페이스 4칸으로 설정하기 메뉴>도구>기본설정 설정&구문강조->파일종류->lua 탭들여쓰기->탭크기->4 2021. 8. 13. 동영상 회전해서 저장하기 곰믹스로 하면 된다. 곰믹스 실행하고 , 파일 추가한 후 아래 그림처럼한다. 아래 그림에 있는 이퀄라이저 영역을 클릭한다. 회전은 돈을 내야 되지만 상하반전은 무료니 상하에 체크해 준다. 상하 반전에 체크해 주니 동영상 화면이 반전되서 보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적용을 누른다. 적용을 누른 후, 인코딩 시작 버튼을 누르면 끝. 2021. 6. 16. Hyper-V 가상머신을 이용한 Ubuntu 18.04 설치 도스창에서 systeminfo[Enter] 위처럼 Hyper-V 요구 사항의 각 옵션이 '예'이면 진행한다. 아니면 BIOS로 가서 Virtualization 메뉴에 들어가서 항목들을 Enable한다. powershell[Enter] Start-Process powershell -Verb runAs[Enter] // 시작>Windows 파워쉘>마우스 우측 버튼 클릭>어드민으로 실행한 것과 같다. Enable-WindowsOptionalFeature -Online -FeatureName Microsoft-Hyper-V -All[Enter] Y[enter] DISM /Online /Enable-Feature /All /FeatureName:Microsoft-Hyper-V[Enter] 시작>Windows 관리.. 2020. 12. 31.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