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94 2.5 DSU/CSU DSU/CSU는 LAN을 WAN으로 확장하거나 또는 인터넷에 연결할 경우에 사용된다. 대부분의 연결 형태는 PC나 라우터와 같은 DTE(Data Terminal Equipment)에 DCE(Data Communicaton Equipment)인 DSU(Digital Service Unit) / CSU(Digital Service Unit)통하여 가입자 선로(보통 전용선)을 통하여 원거리의 DCE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만일 가입자 선로가 일반 전화선을 사용하는 경우(또는 아날로그 변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DSU/CSU는 모뎀으로 불린다. 초기에는 56/64Kbps 속도 이하의 DSU(Digital Service Unit)가 주로 사용되으나 최근 다 채널 기능이 있는 CSU(Channel Service.. 2020. 1. 23. 2.4 허브(HUB) 2.4.1 허브의 개요 최초의 이더넷은 공통선 버스방식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네트워크에 있는 노드 또는 노드 사이에 있는 어떠한 네트워크 라인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이것이 하나에서 그치지 않고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끊어지게 만든다는 단점이 공통선 버스 형태를 사용하는 네트워크구조의 큰 문제점으로 다가왔다. 이러한 문제점은 망을 성형(Star) 구조로 구성하고 중심에 HUB를 두어 HUB에 물린 각 노드의 종단에 컴퓨터를 연결한 방식을 사용하여 해결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성형망 구조도 아래 그림을 참조해서 보면 버스형 구조의 연장선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각 노드로 나가는 선들은 HUB 내부에서 공통선 버스를 가진다. 그러나, 하나의 노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2020. 1. 23. 2.3 UTP 케이블과 인터페이스 방법 2.3.1 EIA/TIA568 EIA/TIA568은 실내에서의 케이블링 규약이다. 초기 EIA/TIA568A 규약을 사용 한 이 후 2001년 실내 케이블링 규약인 EIA/TIA568B에 개선 통합되었다. 케이블 카테고리로 Cat-5e, Cat-6를 명시했으며 Cat-5를 삭제하였다. 요즘 나오는 UTP Cat-5 케이블은 Cat-5e 명세를 따르는 케이블이라 보면 된다. ◆EIA/TIA 568-B.1 : 케이블링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명세, 요구사항 ◆EIA/TIA 568-B.2 : 커넥터에 대한 표준 ◆EIA/TIA 568-B.3 : 광섬유 케이블링 컴포턴트에 대한 규격 (1) RJ-45 잭과의 연결 먼저 EIA/TIA568-B 연결 방식을 알아보자. 단, 다음 사항을 머리속에 집어 .. 2020. 1. 23. 2.2 이더넷 토폴로지(Topology) 초기 네트워크의 케이블 재료는 동축케이블이다. 이것은 중앙에 그라운드선을 두고 이것과 떨어진 위치에 신호선(그라운드선을 둘러쌈)을 가진다. 이 케이블은 유선방송의 전송 매체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케이블을 채택한 네트워크는 공통 버스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중간 한곳에 불량이 발생하면 전체 네트워크가 끊기게 되는 약점을 가질 뿐더러 효율적인 망 관리를 어렵게 만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 바로 스타(Star)망 구조이다. 우리 나라 말로는 성형(星形)망 구조로 나타내어진다. 이것은 TP(Twisted Pair) 케이블을 컴퓨터들에 연결하고 이렇게 연결된 각각의 라인을 공통 버스 구조를 가지게 하는 장치(HUB)로 묶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형태를 채택하면 어.. 2020. 1. 23. 2.1 Ethernet의 정의 이더넷(Ethernet)은 OSI 7 계층 모델에서 제 1계층인 물리계층과 제 2계층인 테이터링크 계층에 해당된다. 이더넷(Ethernet)은 Ether 와 Net의 합성어인데 Ether(에테르)란 옛 사람들이 상상한 대기 밖의 정기(精氣), 영기(靈氣)의 의미이거나 빛과 같은 파동을 전달하여 주는 가상의 매체란 의미이고 Net은 네트워크(Network)의 약자이다. 이 이름은 이더넷의 아버지이자 3Com 회사의 창업자인 Bob Metcalf가 자신이 개발한 컴퓨터 통신 구조 및 통신 방법을 논문에 게재하면서 이러한 것들 전체를 이더넷이라 명명한 후 일반적으로 불리어지게 되었다. 즉, 이더넷은 물리계층의 미디어에 대한 정의부터 시작하여 전기신호에 대한 약속과 함께 이러한 신호를 제 3 계층인 트랜스포트 .. 2020. 1. 23. 1.5 LAN 카드와 LAN 케이블 1.5.1 LAN 카드 LAN(Local Area Network) 카드 또는 NIC(Network Interface Card) 라고 불리는 장비는 컴퓨터 내부의 데이타를 네트워크의 전송로에 전기신호로 변화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OSI 7 계층 모델에서 제 1계층(물리 계층)과 제 2계층(물리 계층)에 속함을 "1.2 프로토콜"에서 언급된 바 있다. 접속되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그 인터페이스가 일치해야 한다. 아래 그림은 UTP 케이블이 접속되는 LAN 카드 그림이다. 요즘은 PC의 메인보드에 내장되어 이러한 장치를 직접 사서 쓰는 경우는 드물다. 위에서 보면 랜 카드의 인터페이스의 형태가 RJ45잭(모듈러 잭)이며 이것은 UTP 케이블에 RJ45잭을 연결한 후 이 장치와 연결되게 됨을 볼 수 있다... 2020. 1. 23. 1.4 TCP/IP TCP는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P는 Internet Protocol의 약자이다. TCP/IP는 단일 프로토콜이 아니며 TCP/IP Suite이며 컴퓨터 통신에서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 프로토콜을 일컫는 말이다. 그런나 TCP와 IP가 그 Suite 중에서도 많은 기능을 수행하므로 보통 TCP/IP로 붙여서 사용되며 인터넷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의미하기도 한다. 2020.01.23 - [네트워크 개요] - 1.3 프로토콜(Protocol) 1.3 프로토콜(Protocol) 독립적인 두 개 이상의 시스템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정의된 약속인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즉, 프로토콜이란 컴퓨터와 컴퓨터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기 위한 규칙 .. 2020. 1. 23. 1.3 프로토콜(Protocol) 독립적인 두 개 이상의 시스템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정의된 약속인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즉, 프로토콜이란 컴퓨터와 컴퓨터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기 위한 규칙 및 약속의 모음이다. 프로토콜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담는 일정한 형식과 전송 절차, 신호 규격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프로토콜들이 존재하지만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공통적인 내용을 크게 나누면 다음과 같다. ◆ Fragmentation & Reassembly 송/수신되는 테이터를 형식에 맞게 나누고 다시 재결합한다. ◆ Error Detection & Correction 송/수신되는 테이터에 에러가 발생하는지를 감시하고 정정한다. ◆ Data Flow Control 테이터의 흐름을 조절한다. ◆ Multi.. 2020. 1. 23. 이전 1 ··· 21 22 23 24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