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4

주파수와 주기 진동수(주파수) : 얼마나 자주 떠나? (Frequency) (f) [Hz] 주기 : 얼마만에 떠나? (Period) (T) [s] 진동수는 떠는 횟수에 중점을 둔 말이라면, 주기는 떠는 시간 간격에 중점을 둔 말이다. 50초에 100번 떤다. 주파수 영역에서 보면 : 진동수(주파수) : 100번 / 50초 = 2 [Hz] 100년에 한 번 화산 폭발한다. 시간 영역에서 보면 : 주기 : T=100년 2초에 한 번 떤다. 주파수 f : 1/2 [Hz] 주기 T : 2[s] 1초에 2번 떤다. 주파수 영역 => f : 2번/1초 = 2[Hz] 시간 영역 => T=1초/2번 = 0.5[s] T = 1/f, f=1/T 2020. 1. 28.
저항 읽는 법 저항 값을 읽기 위해서는 저항의 표면에 색을 가진 줄무니를 넣는다. ​ 색 숫자 자릿수 오차 저항 띠 색 또는 오차 띠 색 검(흑) 0 $10^0$ ​ 갈(갈) 1 $10^1$ ​±1% 빨(적) 2 $10^2$ ​±2% 주(등) 3 $10^3$ ​ 노(황) 4 $10^4$ ​ 초(녹) 5 $10^5$ ​±0.5% 파(청) 6 $10^6$ ​±0.25% 보(자) 7 $10^7$ ±​0.1% 회(회) 8 $10^8$ ±​0.05% 백(백) 9 $10^9$ ​ 오차 띠 색 금 ​ $10^{-1}$ ±5% 은 ​ $10^{-2}$ ±10% 띠 색은 저항 둘레에 4 개, 5 개 또는 6 개인 경우가 있는데, 6개인 경우에는 온도에 따른 저항의 변화율까지 띠 색으로 나타낸다. 보통 일반저항은 4 개, 정밀저항은 5.. 2020. 1. 24.
전자 부품의 종류 전자 부품은 회로도 상에 위치하며 회로도에서의 전기 특성을 능동적/수동적으로 변화시키는 '소자'와 그 전기 신호 나 특성을 변화 시키지 않는 주변 부품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부품 실예 소자 능동소자 트랜지스터, 터널효과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 수동소자 저항, 커패시터, 컨덕터, 일반 다이오드, 트랜스포머, 릴레이 주변부품 기판, 커넥터, 스위치, 래핑 와이어 소자는 능동 소자와 수동 소자로 구분된다. 능동 소자는 전기 신호와 특성을 능동적으로 바꾸어 주는 전자 부품이며, 트랜지스터, 트랜스포머, 터널효과 다이오드와 발광 다이오드 등이 있다. 수동 소자는 RLC(Resistor, Inductor 및 Capacitor) 및 일반 다이오드와 같은 소자로써,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고정적(선형적)으로 변화시킨.. 2020. 1. 24.
소방설비기사(전기) 용어 정리 가요전선관 : 可撓 電線管 구부러짐이 가능한 전선관. 플렉서블 전선관. 가용 절연물 : 可鎔, 잘 녹는 절연물. ​ 계단참 : 계단을 올라가다 넓어지는 곳으로 쉬어감을 뜻하는 우리말 '참'과의 합성어이다. ​ 다이어프램 : Diaphragm. 횡경막과 같은 막을 말하는 데, 온도나 압력의 변화에 따라 막이 움직여 접점을 붙게한다. ​ 미터릴레이 : 릴레이 입력단의 상태를 알 수 있는 디지탈/아날로그 표시창을 가지고 있는 릴레이. ​ 방전종지전압 : 放電終止電壓, final discharge voltage. 축전지의 과방전 제한 전압. 이 이하로 방전하면 축전지의 성능이 크게 떨어진다. 방청도장 : 녹 방지 도장. ​ 비화재보 : 화재와 유사한 상황을 화재 발생 상황이라고 잘 못 경보하는 것. ​ ​ ​ .. 2020. 1. 24.
SI 단위 체계란? SI 단위는 System Internation Unit의 약자이다. 물리량을 다룰 때의 기준값과 그 기준에 대한 정의를 담고있다. 이 SI 단위의 근간은 길이, 무게 및 시간에 대한 정의이다. 그래서 SI 단위를 MKS 단위라고도 한다. MKS는 Meter[meter], Kilo-gram[kg], 그리고 S[second]의 머릿글자이다. ​ 즉, 길이는 미터(meter), 질량은 킬로그램(kg), 시간은 초(second)를 사용하도록 한다. MKS는 천체를 관측할 때 만들어진 물리 단위라 단위량이 크기 때문에, cgs (centimeter gram second)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단, 에너지의 단위가 erg로 바뀐다. 물론 MKS에서는 에너지의 단위는 Joul이다. ​ 보통 단위는 물질, 물리현상.. 2020. 1. 24.
1. 직류회로 1.1 전기란? ​ 물질의 최소단위인 원자에서 원자핵의 주위에 분포하는 전자 중 자유전자라고 불리는 전자가 매질의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에너지의 발생이 유도된다. 이러한 에너지를 전기 또는 전기에너지라고 한다. ​ 전자 전기량 : $1.602 * 10^{-19} [ C]$ 전자의 질량 : $9.1 * 10^{-39} [kg]$ ​ 1.2 전기에너지 ​ $W=VQ [J]$ $W=Work [J]$ 여기서, Q:전하량 [C], V:Voltage [V] ​ 전하량 1[C]의 전하가 1[V]의 전위차를 가진 회로에서 이동하여 얻거나 잃은 에너지를 말한다. 하나의 공식이 나오면 다음과 같은 표를 그리면 다른 유도식은 쉽게 만들어 진다. *주의: W는 Work 이지 Watt가 아니다. W V Q $W=VQ,.. 2020. 1. 24.
3.2 라우터 각기 독립된 네트워크들을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분할/구분 시켜주는 장치로서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한다. 브릿지가 동종 네트워크 사이에서 프레임의 MAC 어드레스만을 읽어 네트워크와 네트워크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여 주는데 반하여 라우터는 LAN과 LAN, LAN과 WAN에서 데이터의 이동 경로를 최적화하기 위한 경로 검사를 수행하여,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하고 있어 패킷이 라우터로 전송되어지면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하여 최적화된 경로로 패킷을 전송시킨다. ​ 3.2.1 라우터의 기능 ​ (1) 네트워크의 인터네트워킹 ​ 각기 독립된 네트워크들을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분할 시켜준다. 게이트웨이의 역할 을 수행한다. ​ (2) 패킷 스위칭 기능 ​ 한 포트로 패킷을 받아서 다른 포트로 전송하여 줌. (* 패킷: 제.. 2020. 1. 23.
3.1 인터네트워킹 원래의 인터넷의 뜻은 Inter + Network의 합성어 이며 네트워크와 네트워크의 모임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터네트워크가가 계속해서 확장되어 전 지구적인 네트워크가 되어 이제는 Internet이란 전 지구적 네트워크 망을 의미하게 되었다. 본 단원에서는 인터네트워킹, 이더넷과 이더넷, 이더넷과 인터넷의 연결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 3.1.1 계층별 구조 ​ ​ ​ 위 그림은 각 계층을 연결해주는 장비를 보여준다. 즉, 물리계층에서 물리계층을 확장시키는 것이 리피터,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데이터링크 계층을 확장하키는 것이 브릿지, 그리고 네트워크를 확장시키는 것이 라우터라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세그먼트라는 개념이 나오는데 세그먼트란 이것은 물리적으로 제한되는 네트워크 구분단위이다. 예를 들면,.. 2020. 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