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전기기사41 화학소방차와 자체소방대원의 수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 또는 일반취급소에서 취급하는 제4류 위험물의 최대 수량의합에 따라 화학소방차와 자체소방대원의 수가 정해진다. 12만배 미만 화학소방차 1대 * 5인 = 5인 12만배 이상 24만배 미만 화학소방차 2대 * 5인 = 10인 24만배 이상 48만배 미만 화학소방차 3대 * 5인 = 15인 48만배 이상 화학소방차 4대 * 5인 = 20인 십만자리의 숫자가 화학소방차의 숫자이다. 2020. 9. 25. 제조소등의 화재예방규정 대통령령이 정하는 제조소등의 관계인은 당해 제조소 등의 화재예방과 화재 등 재해발생 시의 비상조치를 위하여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예방규정을 정하여 당해 제조소 등의 사용을 시작하기 전에 시/도지사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예방 규정을 변경한 때에도 또한 같다. ○ 화재예방규정을 정하여야 하는 제조소등 암반탱크저장소, 이송취급소 지정수량의 10배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 일반취급소 지정수량의 100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외저장소 지정수량의 150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내저장소 지정수량의 200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외탱크저장소 암반탱크저장소와 이송취급소의 위험도를 높게 보았다. 제조소와 일반취급소가 그 다음으로 위험도가 높다. 옥외, 옥내, 옥외탱 순으로 100, 15.. 2020. 9. 24. 제조소, 저장소, 취급소의 종류 ○ 제조소등 : 제조소, 저장소, 취급소를 말한다. ① 제조소 : 위험물을 제조할 목적으로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기 위하여 허가받은 장소 ② 저장소 :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하기 위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장소 ③ 취급소 :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하기 위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장소 1. 제조소 2. 저장소 옥내저장소 옥내탱크저장소 옥외저장소 옥외탱크저장소 지하탱크저장소 간이탱크저장소 이동탱크저장소 암반탱크저장소 3. 취급소 ① 주유취급소 : 고정된 주유설비에 의하여 자동차/항공기 또는 선박 등의 연료탱크에 직접 주유하기 위하여 위험물을 취급하는 장소 ② 판매취급소 : 점포에서 위험물을 용기에 담아 판매하기 위하여 지정수량의 40배 이하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장소 ③ 이송취급소 : 배관.. 2020. 9. 24. 연결살수설비 설치 기준 1. 판매시설, 운수시설, 창고시설 중 물류터미널로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 [㎡] 이상 2. 지하층으로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150 [㎡] 이상. 단, 국민주택 규모 이하의 아파트의 지하층(대피시설로 사용하는 것만 해당)과 학교의 지하층은 700[㎡] 이상. 3. 가스시설 중 지상에 노출된 탱크의 용량이 30톤 이상인 탱크시설 4. 1, 2의 특정소방대상물에 부속된 연결통로 2020. 9. 24. 열량과 온수기 효율 꼭 맞춰야 하는 문제가 있다. 바로 전기보일러의 열량과 효율계산문제이다. [문제] 20[˚C]의 물 2[L]를 64[˚C]가 되도록 가열하기 위해 400[W]의 온수기를 20분 사용하였을 때 이 온수기의 효율은 약 몇 [%]인가? 이건 상식으로 접근한다. 1 $cal$는 물 1g을 1[˚C] 올리는데 들어가는 에너지이다. (정확히는 1기압, 14.5[˚C] 에서 물 1g을 15.5[˚C]로 올리는 에너지로 정의된다.) 그러므로 물 2L를 44[˚C] 상승시키는데 들어가는데 소모된 열량은 $2000*44 [cal]=88,000 [cal]$라는 것이다. 전기보일러(문제에서 위에서 Watt라는 단위가 있으므로 유추가능)의 효율이 1이라면, 전기에너지가 100% 열에너지로 변환되었다라고 가정한다면, 열량($H .. 2020. 9. 21. 방화벽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가 아닌 건축물로서 면적이 1천 제곱미터를 넘는 건축물 또는 목조건축물에 설치하는 벽으로서 그 설치기준과 구조는 다음과 같다. ① 내화구조로서 홀로 설 수 있는 구조일 것. ② 방화벽의 양쪽 끝과 윗쪽 끝을 건축물의 외벽면 및 지붕면으로부터 0.5m 이상 튀어 나오게 할 것. ③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의 너비 및 높이는 각각 2.5m 이하로 하고, 해당 출입문에는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2020. 9. 15. 구동점 임피던스 회로를 해석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회로 소자 각각의 구동점 임피던스를 구한 후 원하는 답을 찾아 내면 된다. 그럼 구동점 임피던스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 겠다. ○ R-L 직렬회로의 구동점 임피던스 위 회로망의 미분방정식은 인덕터에 패러데이 법칙을 적용하여 나타내면, $v_i (t) = R \cdot i(t) + L \dfrac{di(t)}{dt}$ ------- (1) 여기서 $i(t)는 e^{j \omega t}$ 형태이므로 윗 식은, $v_i(t) = R \cdot i(t) + L j\omega \cdot i(t)$ ------- (2) $v_i (t) = (R + j \omega L ) \cdot i(t)$ 윗 식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면, $\dfrac{v_i (t)}{i(t)} = R.. 2020. 9. 13. 왜 라플라스(s)를 썼나? 결론부터 말하자면, $e^{jwt}$를 사용하지 않고 $e^{st}$만을 사용하면 미분방정식에서 허수를 다루는 수고를 덜 수 있어서이다. 1차 함수를 미분하면? 상수가 나온다. 2차 함수를 미분하면? 1차 함수가 나온다. 상수를 적분하면? 1차 함수가 나온다. 1차 함수를 적분하면? 2차함수가 나온다. 이 세상에서 미분하거나 또는 적분하면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는 함수가 있을까? 딱 하나 있다. $e^x$ 함수이다. 삼각함수도 $e^x$ 함수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e^x$ 함수라고 할 수 있다. 전자회로의 인덕터와 커패시터에 나타나는 전류와 전압은 입력 함수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 단지 그 절대값과 위상만이 바뀔 뿐이다. 그러므로 회로망을 미분방정식으로 나타내면 그 해는 $e^x$ 함수로 나타나게 된다... 2020. 9. 13.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