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94 제조소등의 화재예방규정 대통령령이 정하는 제조소등의 관계인은 당해 제조소 등의 화재예방과 화재 등 재해발생 시의 비상조치를 위하여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예방규정을 정하여 당해 제조소 등의 사용을 시작하기 전에 시/도지사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예방 규정을 변경한 때에도 또한 같다. ○ 화재예방규정을 정하여야 하는 제조소등 암반탱크저장소, 이송취급소 지정수량의 10배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 일반취급소 지정수량의 100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외저장소 지정수량의 150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내저장소 지정수량의 200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외탱크저장소 암반탱크저장소와 이송취급소의 위험도를 높게 보았다. 제조소와 일반취급소가 그 다음으로 위험도가 높다. 옥외, 옥내, 옥외탱 순으로 100, 15.. 2020. 9. 24. 제조소, 저장소, 취급소의 종류 ○ 제조소등 : 제조소, 저장소, 취급소를 말한다. ① 제조소 : 위험물을 제조할 목적으로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기 위하여 허가받은 장소 ② 저장소 :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하기 위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장소 ③ 취급소 :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하기 위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장소 1. 제조소 2. 저장소 옥내저장소 옥내탱크저장소 옥외저장소 옥외탱크저장소 지하탱크저장소 간이탱크저장소 이동탱크저장소 암반탱크저장소 3. 취급소 ① 주유취급소 : 고정된 주유설비에 의하여 자동차/항공기 또는 선박 등의 연료탱크에 직접 주유하기 위하여 위험물을 취급하는 장소 ② 판매취급소 : 점포에서 위험물을 용기에 담아 판매하기 위하여 지정수량의 40배 이하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장소 ③ 이송취급소 : 배관.. 2020. 9. 24. 연결살수설비 설치 기준 1. 판매시설, 운수시설, 창고시설 중 물류터미널로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 [㎡] 이상 2. 지하층으로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150 [㎡] 이상. 단, 국민주택 규모 이하의 아파트의 지하층(대피시설로 사용하는 것만 해당)과 학교의 지하층은 700[㎡] 이상. 3. 가스시설 중 지상에 노출된 탱크의 용량이 30톤 이상인 탱크시설 4. 1, 2의 특정소방대상물에 부속된 연결통로 2020. 9. 24. 열량과 온수기 효율 꼭 맞춰야 하는 문제가 있다. 바로 전기보일러의 열량과 효율계산문제이다. [문제] 20[˚C]의 물 2[L]를 64[˚C]가 되도록 가열하기 위해 400[W]의 온수기를 20분 사용하였을 때 이 온수기의 효율은 약 몇 [%]인가? 이건 상식으로 접근한다. 1 $cal$는 물 1g을 1[˚C] 올리는데 들어가는 에너지이다. (정확히는 1기압, 14.5[˚C] 에서 물 1g을 15.5[˚C]로 올리는 에너지로 정의된다.) 그러므로 물 2L를 44[˚C] 상승시키는데 들어가는데 소모된 열량은 $2000*44 [cal]=88,000 [cal]$라는 것이다. 전기보일러(문제에서 위에서 Watt라는 단위가 있으므로 유추가능)의 효율이 1이라면, 전기에너지가 100% 열에너지로 변환되었다라고 가정한다면, 열량($H .. 2020. 9. 21. 타이머 1a1b 타이머의 소켓과 내부 구조이다. 릴레이가 논리 회로를 구성한다면 타이머는 시간제어를 담당한다. 1번 3번은 순시(순간적으로) 동작하며 릴레이처럼 동작한다. 5번 6번은 타이머에 설정된 설정 시간 후, 접점이 변화(작동)되는 것을 이용한다. 5번에 연결하면 b-접점을 이용해서 시간 지연 후 Open, 6번에 연결하면 a-접점을 이용해서 시간 지연 후 Close 시키는 목적이다. 저번 포스팅 계전기를 참조하면 핀번호를 쉽게 외울 수 있을 것이다. 산을 움직이려면 시간이 걸린다고 외운다. 2020. 9. 19. 접점(a, b, c 접점) 전기회로에서 스위치의 역할은 그 동작에 따라 회로가 ON/OFF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 스위치가 달린 포인트를 회로를 연결 또는 차단해 준다고 해서 접점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ON/OFF 작용은 회로에 논리구조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회로를 무접점회로, 유접점회로로 나누기도 하는데 무접점회로는 이 스위치가 없는 회로를 말하며 반도체를 이용한 논리회로로 구성된다.) a 접점 : 누르면 연결된다. 누르면 ON. (독일어 ARBEIT. 일하다.) b 접점 : 누르면 떨어진다. 누르면 OFF. (BREAK. 회로를 차단한다.) c 접점 : a 접점과 b 접점을 가진 접점. Push Button 스위치의 접점 표시 우리는 Push Button 스위치를 주로 사용한다. 줄여서 PB 스위치. 회로도에서는 .. 2020. 9. 18. 계전기(Relay) 제어된 전기 신호를 입력 받아 출력부에 논리적인 전기 신호를 전송(On/Off)하기 위한 전기 기기 또는 반도체 장치를 계전기(릴레이)라고 한다. X, R, Ry로 표기한다. 아래는 전기기능사 시험에서 사용되는 8Pin Relay (2a2b) 소켓과 내부구조를 보인다. 릴레이의 결선도 및 핀 번호는 릴레이에 표시되어 있으며 전기기능사 문제의 지문에 항상 표기해 놓는다. 그러나 기능사 시험에서의 릴레이는 항상 소켓에 올려져 실장되므로 소켓의 번호를 암기하는것이 좋다. 소켓 아래 단자는 입력, 위 단자는 출력 전원은 항상 좌우 끝 신호 입력은 가운데 2개 출력은 입력단에서 가까운 출력단이 A-접점. 먼쪽이 B-접점. (칸 수를 세어보자) 8 번에서 6 까지는 2 차이, 8 번에서 5 까지는 3차이. ; 1 .. 2020. 9. 18. 온도계수에 따른 저항의 변화 $R_{T1}= R_{T0}[1 + \alpha (t_1-t_0)]$ --------------------------------- (1) 여기서, $R_{T1}$ : 변동된 온도에서의 저항, $R_{T0}$ : 초기 저항 $\alpha$ : 저항의 온도 계수, $t_1$ : 변동된 온도, $t_0$ : 초기 온도 윗 식은 당연하다. $\alpha$는 저항의 온도 계수. 저항의 증감($\Delta R$)은 온도의 변화에 비례한다. $\Delta R \propto \alpha \Delta T $ "저항의 온도 계수"에서 "저항의" 라는 말은, 저항($R_{T0} $)에 비례한다는 의미이다. $\Delta R \propto \alpha \Delta T R_{T0}$ 그러므로, 최종 저항값은 "원래의 저항 값".. 2020. 9. 16.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5 다음